‘닦는 소독’에서 ‘공간멸균 무인 자동화’로
의료환경 미생물 오염제거 패러다임 전환
1) '닦는 소독'의 한계
불완전한 미생물 오염제거
인력 의존 : 전문성 / 컨디션 / 의지 등
인력 위험 노출 : 감염 / 산업재해 / Burn-out 등
인력 관리 어려움 : 인건비 상승 등
2) URSASⓇ의 장점
오염제거 완전성
무인 비접촉 방식 Full Automation
과산화수소 공간멸균 모든 필요 장비 내제화
모든 종류 미생물 6Log Reduction
표면균 & 부유균
임상 유효성 입증 완료
의료현장 적합성
대상 시설 : 음압병실, 무균실, 감염격리실, 수술실 등
사용 적합성 확보 : 의료종사자가 직접 운용∙유지 가능
운용 시간 적정성 확보 : 2.5hr/50㎥ 이하
사용 안전성 확보 : 안전사고 예방 기술 적용 / Material Damage 예방 기술 적용
DiHⓇ 혁신 기술이 집약된 비접촉식 공간멸균 자동화 시스템(URSASⓇ)은 과산화수소 공간멸균의 시장확대에 최대 걸림돌인
긴 공간멸균 소요시간과 과산화수소 결로로 인한 Material Damage를 극복한 무인 자동화 시스템임
현행 의료 환경 미생물오염제거 방법은 소독의 불완전성, 비전문성, 투입 인력의 감염위험, 인력 운용 어려움, 감염병 사태 시 관련 인력 Burn-out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인력을 통한 닦는 소독’에 한정되어 있어 사람이 닦는 소독의 한계를 극복하고 의료 환경 감염병 대응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감염병 제거 솔루션의 필요성이 현장에서 제기되고 있는 실정으로 비접촉식 공간멸균 자동화 시스템(URSASⓇ)은 이러한 의료 현장과 시대적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함
URSASⓇ 구성
기본시스템 (Main Sysytem) : 공간멸균기 본체 (제어장치, 분무장치, 포기장치, 에어블로어)
보조시스템 (Sub System) : 스마트 보조시스템 (공조연동장치, 센서장치, 시건장치)
제어 단말기 : Human Interface

기본 시스템 : 공간멸균기 본체 (제어장치, 분무장치, 포기장치, 에어블로어)
보조 시스템 : 공조연동장치, 출입문제어장치, 센서 및 센서 제어장치
제어 단말기 : Human Interface, 제어장치
URSASⓇ 작동방식
1. 외부에 설치된 제어 단말기의 전원을 킴
2. 운용 SW가 활성화되면 SAFE 버튼을 누름
3. 안전상태가 확보되면 출입문이 잠기고 START 버튼이 활성화 됨
4. START 버튼을 누름
5. 공간멸균 자동 수행
① 분사 단계 : 과산화수소 에어로졸 분사, 에어블로어 동작
② 휴지 단계
③ 포기 단계 : 포기&공조연동장치 가동, 흡배출구 하강
④ 종료 단계 : 포기&공조연동장치 중단, 흡배출구 상승, 출입문 잠금 해제

URSASⓇ 제원/사양/주요 기능
미생물 제거수준 : 6 Log
공간멸균 CAPA(㎥/회) : 120~180
본체 크기(L x W x H, mm) : 387 x 542 x 1,750
작동 온도(°C) / 습도(%) : 5~45 / ~99
과산화수소 농도(%) : 13~15
분무장치 수(개) : 1
액적 평균 크기(μm) / 분사량(㎖) : ~10 / 40~60
플라즈마 방전 전압(kV) : 17.5
AE 풍량(㎥/min) / 성능(min/40㎥) : 61/180
1.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가능한 관제 시스템 구현 가능
2. 과산화수소 농도 실시간 측정/표시/연동 가능
3. 시스템 운용/유지 관련 정보 표시/보관/관리 기능
** URSAS 적용 특허(2024년 8월 기준) : 특허 등록 5건 / 특허 출원 4건
복수의 공간에 URSASⓇ 구현 방법
URSASⓇ 설치 방식 A
URSASⓇ 목적에 충실한 구성
각 공간 별로 독립적 운용 가능
원격 제어 및 관제 시스템 적용 가능
각 공간에 기본 시스템, 보조 시스템, 단말기를 모두 설치

URSASⓇ 설치 방식 B
각 공간에 보조 시스템만 처리
DiHPAE-M을 공동 사용
초기 시스템 구축 비용 절감 효과

성능 / 임상 입증
2022년부터 3년간 수행한 범부처방역연계감염병연구개발재단의 감염병의료안전강화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성능입증
고려대의료원 안암병원 외과 ICU 및 내과 ICU 음압병실에 각각 설치
고려대의료원 안암병원에서 2024년 임상 수행
관련 논문 : 고려대의료원 감염내과 윤영경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