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균이란?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미생물과 아포를 완전히 사멸하는 것
준위험 기구
[ 질병관리본부 2017 ]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
의료기관에서 의료기구나 물품의 재사용 시 요구되는 올바른 수준의 소독 및 멸균 시행에 관한 지침
공간멸균이란?
특정 공간 내의 모든 종류의 표면 및 부유 미생물을 사멸시키거나 제거하여 생물학적 오염제거 수준을 6Log 이상에 이르게 하는 것
(99.9999% 이상의 수준으로 미생물 오염 제거)

공간멸균 결과 평가
1) 미생물 사멸 직접 확인
생물학적 지표 (Biological Indicators)
G. Stearothermophilus BI(Biological Indicator)를 대상 공간에 배치 후
공간멸균 절차를 마친 다음 BI를 배양액에 넣고 55℃~60℃의
인큐베이터에서 7일간 배양 후 배양액의 색변 유무로 멸균 성공 여부 판정


7일간 배양

배양 後 > 파랑색

배양 後 > 노랑색
공간 표면 도말 배양 검사 (Culture)
미국질병관리본부 권고 체크리스트를 근거로 대상 공간 표면의 도말을 공간멸균 절차 전후에 각각 채취하여 Culture한 결과로 미생물 사멸 여부 판정

공간 공기 포집 배양 검사 (Air-Culture)
ISO 16000-36 준용하여 대상 공간 내부의 공기를 공간멸균 절차 전후에 각각 포집하여 Culture한 결과로 미생물 사멸 여부 판정


2) 미생물 사멸 간접 확인
화학적 지표 (Chemical Indicators)
과산화수소와 접촉하면 색변을 일으키는 패치형태의 화학적 표시기 (CI : Chemical Indicator)를
대상 공간에 배치 후 공간멸균 절차를 마친 다음 CI의 색변 유무로 멸균 성공 여부 추정

기계적 지표 (Mechanical Indicators)
대상 공간 내부의 온도, 습도, 과산화수소 농도 등의
물리적 상태를 측정하여 미생물 사멸 여부 추정

과산화수소 공간멸균
과산화수소 공간멸균 원리
과산화수소(H2O2)용액을 에어로졸(Aerosol)로 만들어서 대상 공간을 채우면, 과산화수소가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수산화이온(OH-), 초과산화이온(O2-) 등과 같은 활성산소종(ROS)이 바이러스,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에 침투하여 세포구성물질(단백질, 지질, 지방질, DNA 등)을 파괴하는 원리를 이용한 공간멸균

‘활성산소종’이란 Free radical (어떠한 원자 또는 분자가 외곽궤도에 짝 없는 전자를 가지고 있는 형태)을 가져 안정되지 못한 상태를 말하며, 그로인해 강한 활성을 가집니다. 산화적 손상(codidative stress)을 가져온다 하여, 유해산소라고 명명되기도 하며 세포내의 거대한 분자 (단백질, 지질 등)를 산화 시킴으로써 세포의 향상성을 파괴하고, 세포를 사멸시키는 등의 작용으로 세포조직 내에 치명적인 손상을 유발합니다.
과산화수소 공간멸균 적합성
과산화수소(H2O2)는 수소와 산소의 화합물로 옅은 푸른색을 띰
희석한 용액은 무색이고 물보다 점성이 큰 액체로 첨가제 없이 분해됨
화학적 잔류물에 대한 안전성이 있어 공간멸균에 가장 효과적이고 적합한 물질로 사용됨
과산화수소(H2O2)가 분해되면 활성산소종(ROS)은 사라지고 물(H2O)만 남게 되어 다른 잔존 유해물질이나 새로운 화학물질이 생성되지 않음
반면, 공간멸균을 위해 과산화수소(H2O2)용액을 에어로졸로 분무 할 때, 흡입독성의 위험과 에어로졸 분무 시 결로가 발생하면
물질에 손상(Material Damage)을 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각별한 취급 주의가 필요함
PEL (Permissible Exposure Limit | 허용치) : 1 ppm
IDLH (Immediate Danger to Life and Health Limi | 즉시적위험치) : 75ppm
과산화수소 공간멸균 3단계
분사(Injection) : 과산화수소용액을 증기나 연무로 만들어 대상 공간을 채우는 과정
휴지(Dwell) : 대상 공간에 채워진 과산화수소가 분해되며 발생되는 활성산소종이 미생물의 세포구성물질을 파괴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제공하는 과정
포기(Aeration) : 멸균이 완료된 공간 내의 잔여 과산화수소를 빠르게 제거하는 과정

과산화수소 공간멸균 수행 절차
대상 공간 개방
대상 공간의 크기 및 구조, 특징 등을 파악하여 멸균계획 수립
수립된 멸균계획에 따라 시설물 개방 및 환기구 등을 밀폐
공간멸균 장비 반입 및 설치
BI(Biological-Indicator) 등 각종 지표를 설치
퇴장 후 대상 공간 밀폐
공간멸균 장비 원격/자동 작동
공간멸균 3단계 자동 수행
(분사 > 휴지 > 포기)
공간멸균 장비 회수
시설물 원상회복
BI를 배양액에 넣어 회수
배양액에 담긴 BI를 배양기에 넣고
7일간 배양 후 판정
장비구성

유체·액체·전원 등 핵심 기능 및
시스템 제어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

과산화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장비

공간에 잔류하는 과산화수소를
빠르게 제거하는 장비

분사장치에서 분사되는 에어로졸의
확산을 돕는 장비

대상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공조 시스템
Manual 작업 시 작동 중지시키고 밀폐

대상 공간을 밀폐∙시건하는 장치
Manual 작업 시 인력이 밀폐 수행

안전사고 예방에 필요한 센서
Manual 작업 시 인력이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