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0 - 9125

세계 최초로 개발한 DiH® 공간멸균 기술

HOME > DiH® 공간멸균 > DiH®

Overview

DiH 공간멸균 기술 (Dry-ionized Hydrogen-Peroxide Room Sterilization Technology)

과산화수소 건식이온화연무 (DiH : Dry-ionized Hydrogen-Peroxide) 기술은 스테라피가 독자 개발한 혁신적인 기술로,
생물학적 오염제거의 완전성, 안전성, 실효성 등이 입증된 과산화수소 공간멸균의 시장 확대에 최대 걸림돌인 과산화수소 결로로 인한 Material Damage와
상당히 긴 공간멸균 수행 소요시간을 극복할 수 있는 스테라피 고유의 과산화수소 공간멸균 기술

DiH는 17.4kV의 대기방전을 통해 과산화수소수 건무(Dry-fog)를 이온화시키는 iHP 바탕 위에
과산화수소 결로 예방, 소요시간 단축, 무인 자동화 시스템 구축, 사용자 적합성 향상 중심의 혁신적 독자 기술을 쌓아올린 기술로
2024년 10월 현재 관련 특허등록 14건 (국내 11건 / 해외 3건), 특허 출원 7건 (국내 4건 / PCT 3건) 및 특허실시권 4건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보유 중임

구분
기술명
비고
과산화수소 결로 예방
습도 반응형 분사 제어 기술
특허 등록
분사 구동신호 제어 기술
특허 등록
에어블로어 연동 구조 및 제어 기술
특허 등록
공간멸균 소요시간
단축 및 무인 자동화
무인 자동화 시스템 안전사고 예방 기술
특허 등록
정촉매 필터 부착 포기장치 구조 및 제어 기술
특허 등록
에어블로어 및 포기장치 병합 구조 및 제어 기술

특허 출원

공조연동장치를 이용한 포기 시스템 구조 및 제어 기술

특허 출원

안전 환기 포기시스템 구조 및 제어 기술

특허 출원

이동형 공조 연동장치 구조 및 제어 기술

특허 출원

사용자 적합성 향상
전기 안전 구조를 갖는 복합방전 기술
특허 등록
과산화수소 용액 넘침 방지 구조 기술
특허 등록
수중플라즈마제트 기술
이전 기술
유체 및 액체 제어 기술
In-house
Tech
분무장치 설계 기술
유무선 시스템 연동 및 원격 제어 기술

훈증방식 / 이온화연무방식 비교

훈증방식(VHP 혹은 HPV)
이온화연무방식(iHP)
과산화수소용액을 증기로 분사하는 방식
과산화수소용액을 이온화된 연무로 분사하는 방식

오래전부터 의료기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시설(GMP), 생물안전밀폐시설(BL3) 등과 같은 특수시설에서 사용되어왔던 VHP(Vaporized Hydrogen-Peroxide)는
과산화수소(H2O2) 용액을 가열하여 증기로 만드는 기술로, VH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기방전을 통해 과산화수소용액 물방울을 이온화시켜서 분사시키는
iHP®(Ionized Hydrogen-Peroxide)가 비교적 최근 개발되어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음

기존 VHP의 여러 단점들을 개선한 iHP 조차도 포화 상태 혹은 좁은 형태의 공간에서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을 지속적으로 분사하기 때문에
Material Damage를 초래할 수 있는 결로가 발생할 위험성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고 공간멸균 수행 소요시간을 VHP와 비교하여 많이 단축하였으나 여전히
과산화수소 공간멸균 시장을 확대하기에는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함

DiH 공간멸균 기술은 멸균할 공간의 구조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고 대상 공간 상태 그대로 빠른 시간에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6Log 이상의 생물학적 오염제거를
수행할 수 있게 하여 기존의 바이오 관련 특수시설 이외에 의료 환경 감염관리, 농축산시설 감염관리, 재난안전 대응 등의 새로운 분야로 시장을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 사무실, 사업장, 공공시설 등으로 공간멸균의 대중화를 가속화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함

DiH 방전 방식

대기방전
복합방전
분무장치부에서 생성되는 과산화수소 연무(Dry-fog)에 17.4kV의 대기방전을 가해 건무를 이온화 및 정전화 하여 공간멸균의 효율을 높이는 방전 방식
전기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체에 17.4kV 매립형 플라즈마 방전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과산화수소용액을 이온화하고 분무장치부에는 4kV 정전화 장치를 통해 과산화수소 건무(Dry-fog)를 정전화 하여 공간멸균 효율을 높이는 방전 방식

[대기방전 기술 원리]

과산화수소 이온화 연무발생장치

1) 이온화 : 용액의 살균력 증가
플라즈마를 인가하면 물방울 내의 활성종 이온이 증가한다.

2) 정전화 : 물방울 확산과 미생물 접촉유도
플라즈마 인가를 통해 물방울의 극성이 (+) 또는 (-) 로 대전된다.

[복합 방전 기술 원리]

메립 플라즈마 방전장치와 정전식 분무장치의 결합 구조

DiH 공간멸균기

비접촉식 공간멸균 자동화 시스템 (URSAS: Untact Room Sterilization Automation System)

과산화수소 공간멸균에 필요한 모든 장비를 자동화 시스템으로 내재화함

DiH 혁신기술을 집약하여 멸균의 안전성·완전성을 확보한 Full-Automation 시스템

무인화 및 공간멸균 수행 소요시간 최소화(2.5hr 내외 / 50㎥)에 특화된 시스템

대상 공간에 비접촉식 공간멸균 자동화 시스템을 설치 후에는 필요할 때마다 무인으로 공간멸균을 반복적으로 수행 가능함

생물학적 오염으로 치명적 피해가 발생될 수 있거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유해 미생물 관리가 필요한 의료기관, 바이오 관련 시설 등에 적절한 시스템

과산화수소 건식이온화연무발생장치 (DiHPAE: Dry-ionized Hydrogen-Peroxide Aerosol Equipment)

17.4kV 대기방전 방식 혹은 복합방전을 통해 과산화수소 건무(Dry-fog)를 이온화·정전화 하여 공간멸균 효율을 향상시키고
DiH의 다양한 혁신 기술을 접목한 다목적 공간 멸균기

포기장치 및 에어블로어를 내재화 혹은 유무선 연동을 통해 공간멸균 3단계를 자동화 및 원격화한 공간멸균기

포기장치 및 에어블로어 내재화 여부에 따라 DiHPAE_M 계열과 DiHPAE_E 계열로 나눔

DiHPAE_M
포기장치 및 에어블로어 내재화
빌딩 및 실내 전용

DiHPAE_M 계열 공간멸균기는 빌딩과 같은 실내 공간을 대상으로 사용편의성 향상과 공간멸균 수행
소요시간 최소화에 특화된 장비로 비전문가에 의한 장비 운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장비

DiHPAE_E
개별 포기장치 및 에어블로어 연동
다용도 전용

DiHPAE_E 계열 공간멸균기는 실내외를 구분하지 않고 어떠한 공간에서도 최상의 멸균 결과를 확보할 수 있게 사용편의성 향상과 공간멸균 수행 능력에 특화된 장비로 대상 공간에 따라 포기장치 및 에어블로어를 연동하여 공간멸균 수행함

DiHPAE_E2

DiHPAE_E1/S1

포기장치 (AE: Aeration Equipment)

대상 공간에 채워진 과산화수소 에어로졸이 분해되어 미생물 사멸이 진행된 이후 잔류하는 과산화수소를 빠르게 제거하는 장비

과산화수소의 빠른 제거를 위해 다양한 DiH 기술이 접목됨

DiH 공간멸균기 분류 및 장비 구성

DiH 공간멸균 분류
유인방식 (Manual)
반무인 방식 (Semi-Auto)
무인 방식 (Automatic)
주요 대상 공간
다용도 IN & OUT DOOR
IN DOOR 공간
고위험 공간 & 중점관리 공간
공간멸균 수행 및 장비운용 인력
전문가
일반인
일반인


공간멸균 3단계 수행
DiHPAE-E (본체)
DiHPAE_M
URSAS
과산화수소 연무 분사
DiHPAE-E (POD)
과산화수소 연무 확산
에어블로워 (구매)
과산화수소 제거
포기장치 (AE)
과산화수소 농도 측정
농도측정기 (구매)



장치 배치 및 세팅
Manual
Manual
공조장치 밀폐
화재센서 밀폐
출입구 통제
생명체 확인

DiH 공간멸균기 목표 시장

MEDICAL의료환경 감염관리
AGRO-LIVESTOCK농축산시설 감염관리

의료환경 감염관리

의료환경 비접촉식 공간멸균을 통한 감염관리

의료환경 내 감염병 및 다제내성균 문제 해결

의료환경 내 2차 감염 예방을 통한 의료환경 종사자에 대한 안전 확보

의료인력 Burn-out 현상 예방

1·2·3차 병원 / 요양병원 / 산후조리원 / 치과 등 각종 의료관련 시설

농축산시설 감염관리

축산환경 비접촉식 공간멸균 자동화 시스템

축산시설 내 가축 전염병 예방 및 냄새 관리

식물농장 및 농업 시설 미생물 관리

소, 돼지, 닭 등 각종 축사

식물농장 등

BIO FACILITY바이오 관련 시설
DISASTER재난안전

바이오 관련 시설

비접촉식 공간멸균을 통한 바이오 시설 내 미생물 관리

6Log 이상의 멸균이 요구되는 시설

GMP 시설, BSL-3 시설, 바이오 랩 등

재난안전

비접촉식 공간멸균을 통한 재난안전 대응

코로나19 같은 전염병 대응

미생물 테러와 같은 재난 대응

보건소, 감염병 격리시설, 집단시설 등